본문 바로가기

마주 이야기

선생님 인내심을 시험하는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

'오늘을 행복하게 살자! 후회 없이!'라는 생각으로 하루를 보내려고 언제나 노력하지만, 가끔 제 마음을 흔들리게 할 때가 있습니다. 아이들과의 생활이 즐겁고 제 활력소가 되지만, 제 마음 같이 안되는 아이들을 만날 때면 마음이 흔들리곤 하지요.

어떤 때는 아이들 덕분에 살 맛나고, 어떤 때는 속상한 마음에 눈물이 나고, 어떤 때는 머리끝이 쭈삣거릴 때가 있습니다. 희노애락이 함께 공존 합니다.

나의 인내심을 시험하는 아이들

요즘 반대로 말하는 아이들 때문에 저의 인내심이 바닥을 향하고 있습니다. 학기 초부터 "에~나 그거 알아요. 시시해요. 하기 싫어요. 재미없어요" 말하는 아이가 있었습니다. 마음이 진짜 그럴 때도 있지만 문제는 아닐 때도 있다는 것입니다.


표정을 보면 싫은 얼굴이 아닙니다. 그래도 싫다고 말합니다. 은근히 제가 "에이~왜그러는데 같이 하자" 같은 말을 해주길 바라는 눈빛 같이 말입니다. 말은 하기 싫다 하면서 막상하면 즐거워하고, 재밌어 하고, 또 잘합니다. 그런데 왜 싫다고 하냔 말입니다.

제 관심과 사랑을 더 많이 받고 싶어서 였을까요? 자신이 무언가 하는 행동을 사람들이 보는 것이 싫어 의식하는 걸까요? 아이들은 누구나 선생님의 사랑과 관심 받기를 좋아하고, 칭찬에 행복해 합니다. 그런데 아닌 아이들도 있는 걸까요? 저는 그렇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모든 아이들은 주변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속에서 성장해야 긍정적인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 방식이 뽀송뽀송 부드러워야 할 때도 있지만 ,때론 채찍질(그렇다고 때리자는 건 아닙니다) 처럼 강인함도 필요합니다.

1학기 동안에는 그 아이들을 달콤한 말로 꼬셨(사투린가요?)습니다. "같이 해보면 엄청 재밌을걸, 캠프가면 밤 늦게까지 놀 수 있다 진짜라니까, 수영장가면 자유시간 많이 줄께" 등등 아이의 마음이 돌아 올 수 있도록 노력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그것도 한 두번이지요. 요즘은 아이들에게 전염이 되어 스키캠프를 앞두고 싫다고 말하는 아이가 몇 명 더 생겼습니다. 정말 가기 싫다기 보다 웃음 띈 얼굴로 꼭 저를 놀리듯이 말입니다. 저를 골탕 먹이겠다는 건지... 어떻게 하면 좋을까 고민해 보았습니다.

때로는 강인함도 필요하다.

우선 반 전체 아이들에게 스키캠프를 가면 무엇을 하는지 아주 세세히 설명해 주었습니다.

"마산에는 눈이 잘 안와서 보기가 힘들지만 스키장에 가면 눈이 엄청 많다. 그래서 가면 눈으로 하루 종일 놀 수 있다. 눈사람도 만들고, 눈싸움도 하면서 말이다. 또 스키를 이틀이나 타고, 마지막 날에는 리프트로 타고 내려 올 수 있다. 선생님들이 잡아주니 걱정하지 마라, 잘타는 것 보다 즐겁게 타는 것이 중요하다. 재밌게 놀면 된다. 그리고 따뜻한 코코아도 먹을 수 있다."

제가 말하는 동안 아이들이 "우와~"를 연발하며 환호성을 지르더군요. 재밌겠다며 친구들이 난리가 났습니다. 재빨리 반대로 말하는 녀석들의 표정을 살폈습니다. 역시 눈빛이 흔들리고 있더군요. "좀 생각해 볼까?" 라면서 말입니다.

다 꼬셨다 생각을 했습니다. 그런데 몇 일이 지나고 또 가기 싫다 그러는 겁니다. 중간 중간 몇 번을 더 꼬셨던 터라 인내심이 바닥이 나기도 했습니다. 목소리 깔고 아이에게 물었습니다.

"진짜 가기 싫은거야, 진심이야?"
"네(싱글싱글 장난 낀 얼굴로)""
"정말이지? 그럼 정말 우리끼리만 간다. 너 나중에 간다고 말해도 우리 안데리고 가준다"
"네(약간은 흘들리는 눈빛으로)"
"마지막 기회다 선생님 5초 준다 그 안에 대답해라 아니면 정말 안데리고 간다 5, 4, 3"
"갈거예요! 가요"
"그래^^ 이제부터 안간다 말하기 없기다"


그렇게 아이들 구슬릴 수 있었습니다. 선생님이 아이들의 편에 서서 다정함을 잃지 않는 것도 중요하지만 싫은 행동을 할 때는 "선생님도 네가 싫다"는 표현과 말에서의 강인함도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그래도 장난치며 반대로 말하는 아이들은 여전히 있습니다. 옛어른들이 '미운 일곱살'이라 하지요. 아이의 발달상 일곱살쯤 되면 시키는 대로만 하는 것이 아닌 자신의 의견을 말할 수 있고, 하기 싫음과 하고 싶음이 정확해 지는 주관이 생긴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렇게 본다면 우리 아이들 잘 성장하고 있구나 생각 할 수 있겠습니다. 선생님이 아이의 행동이 진심인지 아닌지 판단 할 수도 있어야 겠구요. 어쨌든 그런 행동들에도 아이들을 긍정의 눈으로 봐라 보아야겠습니다. 인내심을 키우면서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