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들 이야기

아이들이 꽃이라면? 늦게 피는 꽃도 아름답다

얼마 전 희주(가명)어머니께 전화가 왔습니다. 희주는 저희 유치원을 졸업한 제자인데 이제 2학년에 올라 가는데, 불현듯  선생님 생각이 나서 전화를 주신다고 하셨습니다.

얼마나 감사하던지요. 잊지 않고 전화를 주신 것만 해도 기분이 좋은데, 전해 주신 이야기는 더 기쁘고 감사한 소식이었습니다.

희주는 초등학교에 들어가 친구들과도 잘 지내고 공부도 잘한다며 또 글을 잘써 상도 받았다고 하셨습니다. 그 기쁜 소식을 저에게도 전하시고 싶었던 겁니다.

선생님 덕분이라며 저희 유치원을 다닌 것이 얼마나 많은 도움이 되었는지 모른다며 이야기를 쭉~ 늘어 놓으시더군요. 교사로써 정말 보람되고 행복해 지는 이야기가 아닐까 싶습니다.

보통은 유치원을 졸업해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나면 유치원 때 담임선생님께 전화하는 경우가 잘 없지요. 고학년으로 올라가도 마찬가질 거구요. 제 경우만 생각해 봐도 그렇거든요. 

공부를 못해서 선생님과 친할 틈이 없었던 건지...말을 안들어서 그런건지... 아무튼! 전화를 주시는 분들은 드뭅니다. 그런데 희주어머님이 이렇게 기쁘게 전화 주신 것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예전에 쓴 글을 뒤적거리다 희주 담임을 맡을 때 쓴 일기를 찾았습니다. 지금 보니 어찌 이리도 못썼는지...불과 3년 전인데...부끄럽지만 이해를 돕기 위해 올려 봅니다.  


오늘 희주가 짜증을 많이 냈다. 툭하면 울고 때쓰고 하는데 이유는 도움지기 친구가 연필을 나누어 주다 연필이 희주 활동지에 떨어지면서 살짝 연필심 자국이 난 것이다. 그래서 울었다. 연필이 그였다고...아주 아주 살짝이었는데...

이게 다가 아니다. 이번에는 활동지를 들고 있다가 손에 힘을 주는 바람에 종이가 약간 구겨졌다. 그래서 또 울었다. 종이가 구겨졌다고...아주 약간인데...

또 이게 다가 아니다. 친구가 자기 이야기에 대답 안 해 준다고 울고, 친구가 시키는 거 안한다고 울고, 툭하면 우는 것이다.

한 두번이 아니라 1학기 동안에는 매일 울었다. 그때마다 달래기 정말이지 힘든다. 힘든척 안하기 짜증나는 척 안하기는 더 힘들다.

"희주야 짜증내지 말고 말로해줘, 그렇게 짜증내고 울기만 하면 왜 그러는지 모르잖아", "희주야 울지만 말고~왜그래? 뭐가 속상해?", "희주야 말로하기로 했잖아?" 이런 말들을 하며 달래는데 끝내는 "희주야 쫌!!"을 외치고 말았다.


희주는 학기 초에 계속 그랬다. 무조건 자기 고집대로 할려고만 하고, 무슨 활동을 하려고 하면 "난 못해요"를 말하던 자신 없어 하던 아이였다.

그러던 희주가 요즘에는 얼마나 변했는지 다른반 선생님들도 희주 행동을 보고 놀라워하신다. 못해요 소리가 없어지고, 체육시간에도 곧 잘 따라한다. 웃음도 많아지고 말도 많아져 이제는 또박또박 의사표현을 잘도 한다.

그렇게 되기까지 얼마나 칭찬을 해주었던가. "희주는 할수있다! 못해도 괜찮아! 마음을 담아서 하면 그게 최고로 잘하는 거야 선생님이 도와줄게"라면서 말이다.


그러던 희주가 오늘은 왜 그랬을까? 오전 시간에 다 받아주지 못한 것이 미안해 오후시간에는 다독여 주었었다. 그랬더니 희주가 다시 웃으며 뛰어 노는데 참... 칭찬의 힘이 이렇게 무서울수가...

전 날 스트레스 받은 것이 많아서 였을까? 그 걸 나름대로 풀고 있었던 것이겠지... 그 때 희주 마음에서는 종이가 약간 구겨진 것이 나에게는 아주 조그만 일이지만 희주에게는 울어버릴 만큼 큰 일이었겠지... 그래도 웃으며 집에 보내 마음이 조금 놓인다.

아이들이 하는 행동에는 무엇이든 이유가 있다고 했다. 다음에 희주가 또 그러면 또 다른 아이도 잘 받아주고 다독여주는 멋진 선생이 되어야겠다.




위의 글에서 처럼 희주는 저를 상당히 힘들게 하는 아이였습니다.
의사표현력도, 신체발달도 다른 아이들에 비해 늦었습니다. 그런데다 짜증을 많이 내는 아이였던 거지요. 무엇이든 마음대로 안 되면 짜쯩부터 냈었습니다.

또 자기만의 색이 강한 아이여서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은 상황에 굴하지 않고 끝까지 해내는 아이였습니다. 한마디로 보통 아이들 보다 손도 마음도 많이 가는,
애를 많이 먹인 아이였지요.

그런데 일곱살이 되고 2학기 말이 되면서 희주가 정말 많이 바뀌어갔습니다. 짜증내는 소리가 적어 지고 친구들을 그렇게 꼬집어 상처를 내더니 이제는 사이좋게 지내면서, 밝아진 모습을 보이는 겁니다. 성장해 가면서 점점 사랑스러운 아이로 변해 갔습니다. 

아이들은 책 내용 처럼, 기계처럼 자라지 않는다!

희주는 또래에 비해 많이 늦은 편이었습니다. 한살 적은 아이보다도 못하는 것이 많았었거든요. '한살부터 여섯살까지'라는 책을 보면 다섯살에는 여우손가락이 되어야 다섯살 발달 수준이 된다라고 했는데 희주는 일곱살이 되어서야 여우 손가락이 되는 아이였습니다. (손을 쫙 펴고 세번째와 네번째 손가락만 접은 동작)

그러니 친구들이 희주를 재미없어 했지요. 또 짜증이 많고, 자기 하고 싶은대로만 할려고 하니 친구들과 어울린다는 것이 힘들었습니다. 한 마디로 늦게 자라는 아이였습니다.

유아관련 책을 보면 개월 수에 맞춰 이래야 하고 저래야 한다는 '정석'(?)이 나와 있습니다. 그런데 아이들은 책대로 자라지 않지요. 기계가  아니니까요. 책에 맞게 자라주지 않는 겁니다. 

책은 일반적인 혹은 평균적인 사례만 제시할 뿐 우리 아이에게 해당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빠른 아이, 보통인 아이, 느린 아이 모든 경우를 생각해야 합니다.



그런데 요즘 부모들은 핵가족으로 인해 윗세대에서 아이 키우는 지혜를 배우기 보다 전문 서적에 더 많이 의존합니다. 그러니 조금만 느려도 조바심을 내고, 아이를 다그치게 되지요.

희주는 또래에 비해 많이 기다려줘야 하는 아이였던 겁니다. 이 아이가 유치원에 다닐 때는 한글도 몰랐습니다. 자기 이름 겨우 쓰는 정도 였습니다. 초등학교에서 상을 받을 수 있을 거라고는 상상도 못했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그럴 수 있었던 걸까요?

늦게 피는 꽃도 아름답다.

희주는 글을 못쓰지만 글 못쓰는 것에 대해 스트레스를 주거나 억지로 공부 시키지 않았습니다. 느리다고 다그치거나 빨리를 외치지도 않았구요. "괜찮아! 그럴 수도 있어 걱정마 할 수 있어"라는 말을 가장 많이 해주었습니다. 

물론 가정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아이에게 글을 가르치려고 하기 보다 이야기를 들어 주고 경험을 많이 쌓을 수 있도록 노력해 주셨지요.
 
늘 자신 없고 '난 못해'를 말하던 아이에게 관심과 칭찬을 놓지 않았던 겁니다. 그렇게 기다리니 자기가 받아 들일 수 있는 발달의 시기가 오자 한글을 두 달만에 습득하였고, 그 때부터는 동화책을 엄청 읽더랍니다. 동화책 사는 것에 교육비 대부분을 지출한다고 하시던군요.

그러니 상상력과 표현력이 눈에 뛰게 좋아지고 글을 잘 쓰는 아이가 되었다는 겁니다. "선생님 기다리니까 알아서 다 하더라구요. 우리 희주 대단하죠?" 어머님의 말씀이셨습니다.

느린 아이에게 한글을 빨리 깨치도록 다그쳤다면 어찌 되었을까요? 자기가 받아 들일 시기만 되면 몇 년씩 한글 깨치게 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아도 몇 달만에 깨칠 수 있게 됩니다. 빨리 깨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닌거죠.

첫 번째 피는 꽃만 아릅다운 것은 아닙니다. 늦게 피는 꽃도 아름답습니다. 늦게 피어도 크고 아름답게 활짝 필 수 있습니다. 아니 크지 않으면 어떻습니까? 그 향기를 마음으로 느끼면 되는 거지요.

얼마 전 EBS '세계의 교육현장'에서 본 다큐 속 선생님의 말씀이 생각나네요. 아이들을 빗대어 " 작은 그릇에 억지로 많은 내용을 담으려 하지 말고 그릇을 크게 만들자" 라는 이야기를 하시더군요. 

지금 우리는 아이들에게 어떻게 하고 있나요? 작은 그릇에 담지도 못할 내용들을 담으려 노력하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보았으면 합니다.